행안부, 재난·재해·산불 방지 역량 강화…종합 점검회의
AI 활용 재난관리…산불 진화 장비 추가 도입
- 이비슬 기자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행정안전부는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23년 종합대책과 기후대책을 마련하고 24차례에 걸쳐 대책 이행 상황을 점검해 왔다.
행안부는 지난해 다중운집인파사고를 포함해 재난 유형을 기존 51종에서 81종으로 늘리고 재난관리주관기관도 기존 21개에서 25개로 추가 지정해 체계를 정비했다.
올해는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시 침수 예보 및 산불 감시 체계 구축, 시·도 재난안전연구센터 확대 운영, 호우·가뭄·지진해일 의사결정 지원체계 마련을 통해 재난관리 분야에 과학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지난해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을 기존 18개에서 35개로 늘리고 산사태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추가 발굴(7879개)했으며 지방하천 20개소를 국가하천으로 승격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불 방지 대책도 함께 논의했다.
행안부는 대형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봄철에 대비해 전국 산불위험지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무인감시카메라(1446대)와 드론 감시단(32개단), 산불감시 ICT 플랫폼을 활용한 24시간 산불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고성능 진화 차량을 기존 29대에서 32대로 확충하고, 국내 산림 여건에 맞는 다목적 진화 차량도 새로 도입(16대)하는 등 산불진화자원도 보강했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최우선으로 두고 기후변화와 신종·복합재난에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관리 체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b3@tydaying.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