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 경매시장 급랭"…2024년 韓 경매 낙찰액, 25% 하락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 '2024년 미술 시장 보고서' 발행
- 김정한 기자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지난해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은 전반적인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찰총액, 경매 횟수, 거래량 등 전반적인 부분에서 부정적인 지표를 보였다.
4일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 기업부설연구소 '카이'가 공개한 '2024년 미술시장을 총 정리하는 연말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9개 경매사의 총 낙찰액은 1135억 2522만 원으로, 전년 대비 25.22% 감소했다. 특히 중저가 작품 시장의 위축이 두드러졌으며, 고가 작품 시장에서도 신중한 거래가 이루어졌다.
경매사별로 보면 서울옥션은 7.82% 감소한 488억655만 원, 케이옥션은 23.96% 떨어진 441억2530만 원, 마이아트옥션은 63.65%나 하락한 107억3075만 원을 각각 기록했다.
총 경매 횟수는 266회(오프라인 41회, 온라인 225회)로 전년 대비 5회 감소했으며, 출품 작품 수는 2만 8553점에서 2만 4023점으로 15.87% 줄었다. 다만 온라인 경매 출품작은 크게 감소한 반면, 오프라인은 소폭 증가했다.
위축된 시장 상황 속에서도 10억 원 이상에 거래된 작품은 5점으로, 전체 판매총액의 약 22%를 차지, 고가 작품 시장은 나름대로의 저력을 보여줬다. 1억~5억 원 구간의 작품 거래가 가장 활발했으며, 이 구간의 작품들이 전체 거래의 약 60%를 차지해 시장의 중심축 역할을 했다.
해외 주요 경매사인 크리스티, 소더비, 필립스의 미술품 경매 매출 역시 전년 대비 29.3% 감소했다. 특히 뉴욕의 미술품 경매 매출은 25억 2000만 달러(3조 6867억 원), 전년 대비 31% 하락했지만, 전체 시장의 61.5%를 차지하며 여전히 주도적인 위치를 유지했다. 런던은 시장 점유율을 21.4%로 끌어올렸고, 홍콩은 10.8%로 주춤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미술 시장은 여전히 팝아트가 이끌어가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비엔나의 알베르티나에서 열린 리히텐슈타인의 탄생 100주년 전시회와 루이뷔통 재단에서 열린 '영원한 팝’'과 같은 전시들이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한국 미술 시장에서는 '손의 복권'과 이를 반영한 '공예미술'의 부상이 주목받은 점을 주목했다. 여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바느질, 패치워크, 자수, 퀼트, 태피스트리 등이 각광을 받으면서 부상한 것도 특기할 만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acenes@tydaying.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